Front-end

‘use strict’ 를 쓰는 이유

일반적으로 js 파일을 작성시, 맨 위에 ‘use strict’ 를 선언한다. 타입스크립트를 쓸때는 전혀 고려할 필요가 없지만, 순수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할때는 꼭 쓰는게 좋다. Why? 브랜든이 자바스크립트 언어를 만들때 굉장히 빨리 만들어야...

Continue reading...

innerHTML vs element

위와 같이 Element를 이용하여 DOM 을 조작할 수도 있고, innerHTML을 이용하여 DOM을 조작할 수 있다. innerHTML을 이용하여 DOM을 조작하면, 상황에 따라 안에 텍스트만 변경될때마다 전체적인 html을 계속해서 업데이트하면서 layout print과정이 일어나기...

Continue reading...

(Chrome dev tool) performance

구글 크롬 이용 퍼포먼스 체크 방법 사용자가 조금 더 원활하고 부드럽고 완만한 경험을 하기위해서는, 1초당 60개의 프레임이 계속해서 보여져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한 프레임이 보여질때 16.67ms 동안 이뤄져야한다. 화면이 업데이트 되는게...

Continue reading...

Window load 분석

브라우저는 웹페이지를 읽어올때 html파일을 먼저 읽은 다음에, 그에 관련된 이미지나 폰트, 필요한 리소스를 함께 다운로드 한다. 그리고 자바스크립트 파일이 있다면 그 자바스크립트 파일도 다운로드 받는데, 이 부분은 블로그 자바스크립트 defer async...

Continue reading...